- [한문학] 애연설(愛蓮說) - 염계 주돈이(周敦頤)
水陸草木之花 (수육초목지화) 可愛者甚蕃 (가애자심번) 晉陶淵明 (진도연명) 獨愛菊 (독애국) 自李唐來 (자이당래) 世人甚愛牡丹 (세인심애모란) 予獨愛蓮 (여독애연) 之出於泥而不染 (지출어니이불염) 濯淸漣而不夭 (탁청연이불요) 中通外直 (중통외직) 不蔓不枝 (부만부지) 香遠益淸 (향원익청) 亭亭淨植 (정정정식) 可遠觀 (가원관) 而不可褻翫焉 (이부가설완언)
菊花之隱逸者也 (국화지은일자야) 牡丹花之富貴者也 (모란화지부귀자야)
蓮花之君子者也 (연화지군자자야) 噫 (희) 菊之愛 (국지애) 陶後鮮有聞 (도후선유문) 蓮之愛 (연지애) 同予者何人고 (동여자하인) 牡丹之愛 (모란지애) 宜乎衆矣 (의호중의) |
물과 육지에 있는 풀과 나무의 꽃가운데 사랑할만한 것이 매우 많다 진나라의 도연명은 유독 국화를 사랑했고, 이씨의 당나라 이래로 (이연(李淵) 이 당나라 건국함) 세상 사람들이 모란을 매우 좋아했다.
(연꽃이) 진흙에서 나왔으나 (더러움에) 물들지 아니하고, 맑은 출렁이는 물에 씻겼으나 요염하지 않고 속은 비었고 밖은 곧으며 덩굴이 뻗지 않고 가지치지 아니하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으며, 오롯이 꼿꼿하고 깨끗하게 서 있어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으나 함부로 가지고 놀 수도 없음이니라. 나는 말하노니, 국화는 꽃 중에 속세를 피해 사는 자요. 연꽃은 꽃 중에 군자다운 자라 할 수 있다. 아! 국화를 사랑하는 이는 도연명 이후로 들어본 일이 드물고 연꽃을 사랑하는 이는 나와 함께 할 자가 몇 사람이나 될까? 모란을 사랑하는 이는 마땅히도 많을 것이다 |
중앙승가대학 현 총장스님인 원행스님의 초청강연(2014.10.15. 김포불교대학) 마지막 즈음에 낭독하고 해설해주신 문학작품이다. 조선 시대 초기 배불론에 대한 아이러니한 사실을 이야기하시기 위해서 이 작품을 거론해주셨다. 내 이해력이 부족하고 미천하여 큰스님의 강연 내용을 전부 이해하지 못하지만 정리해서 이야기 하자면 다음과 같다.
송나라때 주자학을 창시한 주희(朱熹)는 주자(朱子)라는 존칭으로 불리운다. 주자학(朱子學)이 발전하여 성리학(性理學)이 되는 데 이것은 조선시대 건국 이념에 중요한 바탕이 되었으며 심지어 조선 건국의 주요 인물인 정도전(鄭道傳)은 이 성리학을 국교화 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이 주자는 위 문학작품의 저자인 주돈이와 그의 제자인 정호(程顥)의 학통을 이은 제자이며, 주돈이는 불교와 이념에 능통하여 불교 사상을 차용했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위와 같은 불교를 대변하는 연꽃을 좋아하는 문학작품까지 썼다고 하는데 조선에 전파된 성리학은 아이러니하게도 불교를 배척하고 말살시키기 위해 선택되었다고 한다.
배불숭유 정책은 내가 이해하기 힘든 더욱 복잡하고 정치적인 이야기가 포함되어있겠지만 단순히 성리학을 기준하여 불교의 배척은 분명하게도 모순점이 있음을 강연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었다.
깊은 가르침을 주신 원행 큰스님께 감사드립니다.
기타 :
조선(朝鮮) 의 선(鮮) 중국 입장에서는 해가 뜨는 적은 나라의 논리로 적다라는 뜻으로 말할 수 도 있다고 하셨다. 헌법에 명시된 우리나라의 영토를 한반도 전체와 부속도서 뿐만 아니라 그 뒷편에 "기타"를 포함하자는 말씀을 하셨는데 이는 한민족의 고대 만주대국의 위용을 찾아가길 기원하는 원행스님이 뜻깊은 마음도 읽을 수 있었다.
참고 서적 :
심체와 성체 2 /주돈이와 장재 및 불교체용론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25)
참고 URL :
http://mtcha.com.ne.kr/world-man/china/man142-judoni.htm
http://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EC%9D%98_%EC%84%B1%EB%A6%AC%ED%95%99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B%8F%84%EC%A0%84
http://ko.wikipedia.org/wiki/%EC%A3%BC%ED%9D%AC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D%98%B8
'Buddh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경 천특집 <다르마> 2편 - 치유 (0) | 2014.05.20 |
---|---|
[강의녹음:제 4 강]불교의 이해와 신행 - 보각스님 (0) | 2014.04.20 |
불기2558년 경기서부권연등문화축제 - 사진 링크 (0) | 2014.04.20 |
[강의녹음:제 3 강]불교의 이해와 신행 - 보각스님 (0) | 2014.04.20 |
[강의녹음:제 2 강]불교의 이해와 신행 - 보각스님 (0) | 2014.04.18 |